"내란은 민주당 너네가 했잖아"...국제선거감시단 모스 탄, 윤석열 전 대통령과 만남 '불발'
하이뉴스 2025-07-16

"내란은 민주당 너네가 했잖아"...국제선거감시단 모스 탄, 윤석열 전 대통령과 만남 '불발'
윤석열 전 대통령이 구속 수감 중인 가운데, 부정선거론자인 모스 탄 전 미국 국무부 대사와의 접견이 특검의 접견 제한 조치로 무산됐다.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팀은 윤 전 대통령에 대해 기소 전까지 가족과 변호인을 제외한 일반 접견을 전면 금지한다고 밝혔다.
16일 오전 서울 서초구 특검 사무실에서 열린 긴급 브리핑에서 박지영 내란 특검보는 “특검은 전날(15일) 오후 4시13분, 윤 전 대통령에 대해 7월 15일부터 기소 시까지 일반 접견을 제한하도록 서울구치소장에게 지휘했다”고 밝혔다.
박 특검보는 “이는 일반 피의자에게 적용되는 기준과 동일한 원칙에 따른 조치”라며, “특별한 예외 없이 일괄 적용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로 인해 16일 오후 4시20분 예정되어 있던 윤 전 대통령과 윤갑근 변호사, 모스 탄 전 대사의 일반 접견은 취소됐다. 해당 접견은 10분간 진행될 예정이었으나, 특검의 긴급 지시로 성사되지 못했다.
모스 탄 전 대사는 미국 민간단체 ‘국제선거감시단’ 활동을 통해 21대 총선과 2025년 6·3 대선에 대해 지속적으로 부정선거 의혹을 제기해온 인물이다. '중국 개입설' 등을 주장하며 국내 강연을 시도했으나, 서울시, 서울대 등에서 잇따라 강연이 취소되기도 했다.
이날 브리핑에서 박 특검보는 추가 수사 내용도 공개했다. 그는 “오늘 오전 7시부터 조태용 전 국가정보원장의 주거지 등 8곳에 대해 압수수색을 진행 중”이라고 밝히며, 전날에는 김민기 국회사무총장을 피해자 겸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했다고 전했다.
박 특검보는 “상황이 시시각각 변하고 있고, 일부 언론이 단독 보도를 통해 기민하게 움직이고 있어 급히 브리핑하게 됐다”며, “양해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한편 윤석열 전 대통령은 현재 내란 예비음모 및 허위사실 공표 혐의 등으로 구속 수감돼 있으며, 특검은 조만간 기소 여부를 최종 결정할 방침이다.
"모스 탄 “내란은 민주당이 했다”…윤석열 구속 속 진실공방 점화"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접견이 무산된 모스 탄 전 미국 국무부 대사의 발언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그는 문재인 정부 시절 여당이던 더불어민주당이 주도한 선거 조작이 사실상 내란 행위라는 주장을 수차례 반복해왔다.
모스 탄 전 대사는 미국 민간단체 ‘국제선거감시단’에서 활동 중인 인사로, 지난 제21대 총선과 2025년 6·3 대선을 둘러싼 부정선거 의혹을 국제사회에 알리고 있는 대표적인 인물이다.
그는 2024년부터 각종 공개 강연과 인터뷰를 통해 "대한민국 내 특정 세력이 선거 시스템을 장악해 민의를 왜곡했고, 이는 단순한 조작을 넘어선 헌정질서 파괴"라고 강하게 비판해왔다. 이어 "이 정도 규모의 선거개입은 민주적 정당성의 근간을 무너뜨리는 일이며, 미국 기준으로는 내란죄에 해당할 수도 있다"고 주장해 파장을 일으켰다.

일각에서는 그의 주장을 극단적 음모론으로 일축하고 있지만, 보수 진영에서는 “국제적 시각에서 봐도 선거의 정당성이 위협받고 있다”는 목소리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계기로 해석하고 있다.
윤석열 전 대통령과 모스 탄 전 대사는 16일 서울구치소에서 일반 접견을 통해 10분간 만날 예정이었으나,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기소 전까지 일반 접견을 금지하는 조치를 내리면서 이 계획은 무산됐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모스 탄 전 대사가 단순한 방문이 아니라, 윤 전 대통령의 내란 예비음모 혐의와 관련된 국제적 시각을 공유하려 한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보수 성향의 한 정치 전문가는 “지금은 ‘누가 진짜 내란을 저질렀는가’에 대한 프레임 싸움이 벌어지고 있는 중”이라며,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특검 수사가 급물살을 타고 있는 가운데, 모스 탄의 주장도 향후 법정 공방에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윤 전 대통령은 현재 내란 예비음모와 허위사실 공표 혐의로 구속 수감 중이며, 특검은 조만간 기소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윤 전 대통령 측은 여전히 부정선거와 진실 규명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