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춘기때 실수로 대학 불합격은 무슨ㅋ"...경북대 학폭 불합격에 '과거 학폭 가해자' 노개념 글 논란
하이뉴스 2025-11-06
"사춘기때 실수로 대학 불합격은 무슨ㅋ"...경북대 학폭 불합격에 '과거 학폭 가해자' 노개념 글 논란
"전교 1등을 해도, 아무리 공부에 특출나도 대학 못 간다."
학교폭력(학폭) 전력이 있는 지원자 45명이 국립대 입시에서 줄줄이 불합격한 사실이 알려지며, 온라인에서 "진정한 교육은 이런 것"이라는 호평이 이어지고 있다. 국내 최고 명문대학교인 서울대 또한 동일한 기준을 반영해 정시 지원자 2명을 '학폭' 이력으로 불합격시켰다.
3일 정치권에 따르면 전국 국립대 10곳 중 6개 국립대가 지난해 입시에서 학폭 전력이 있는 지원자 총 45명에게 감점 조치를 적용해 불합격시켰다. 이 중 수시에서 37명, 정시에서 8명이 탈락했다.
탈락자가 가장 많은 곳은 경북대였다. 경북대는 수시에서 19명, 정시에서 3명 등 총 22명을 불합격시켰다. 부산대는 수시 6명·정시 2명(총 8명), 강원대는 수시 5명, 전북대는 수시 4명·정시 1명(총 5명), 경상대는 수시 3명, 서울대는 정시 2명을 불합격, 전남대와 제주대, 충남대, 충북대는 지난해 대입에서 학폭 감점을 반영하지 않아 불합격자가 나오지 않았다.
올해(2026학년도) 대학 입시부터는 모든 대학이 학폭 기록을 평가에서 감점 요인으로 의무 반영해야 하므로, 이로 인한 불합격자는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경북대의 경우 2024학년도부터 이미 자체 기준을 도입했으며, 서면사과·접촉금지(1~2호)는 10점, 학교·사회봉사(3~5호)는 50점, 출석정지·학급교체(6~7호)는 100점, 전학·퇴학(8~9호)은 150점 감점으로 처리됐다.
실질적으로 중·고교 시절 중징계를 받았다면, 수능에서 만점을 받았다 하더라도 합격선에 도달하기 어렵다.
박명수, "경북대 행사비 20% 빼 드리겠다" 박수 갈채
이와 관련 방송인 박명수는 지난달 31일 라디오에서 "경북대 결정은 정말 잘한 일"이라며 "다른 학교도 이런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 공부 잘해서 S대 간다고 인성이 보장되는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또 "경북대 행사비 20% 빼 드리겠다"며 박수를 보냈다.
이러한 결정에 누리꾼들은 "이것이 진정한 교육이다" , "서울대의 결정에 모두가 동참할 듯", "성범죄만큼 나쁜 죄가 학폭이다. 그들은 마땅한 죗값을 치러야 한다", "학교에 떨어졌다고 억울할 만큼 쓰레기는 없겠지" , "학폭은 10대 때부터 피해자 한 사람의 인생을 망가뜨리는 행위다" 등 호평과 찬사가 이어졌다.
한 교육전문가는 뉴스1과의 인터뷰에서 "서울대를 포함한 국립대의 이같은 연이은 결정은 단순한 입시 뉴스로 여겨져서는 안 된다"며 "한국 교육이 인간 중심으로 돌아서는 '새로운 시대의 신호탄'으로 평가받고 있다. '공부를 아무리 잘해도 먼저 인간부터 돼라'라는 원칙이 실질적으로 제도화된 것, 교육 가치의 방향성의 전환되는 상징적인 출발점"이라고 평가했다.
"사춘기때 실수로 대학 불합격은 무슨" 노개념 글에 논란 폭발
서울대를 비롯한 거점 국립대학교 6곳이 학교폭력(학폭) 전력이 있는 지원자 45명을 2025학년도 입시에서 불합격 처리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온라인 여론은 "이것이 진정한 교육이다"라는 격렬한 찬사와 "사춘기 시절 실수에 평생 낙인을 찍는 것 아니냐"는 강한 비판으로 격렬하게 충돌하고 있다.
현재 전국 140여 개 대학이 학폭 조치 결과를 자율적으로 입시에 반영 중이다. 감점 외에도 서류·면접 정성평가나 지원 자격 제한 방식이 적용된다. 특히 서울교대, 부산교대, 경인교대, 진주교대 등 주요 교육대학교들은 2026학년도부터 학폭 이력의 경중과 무관하게 모든 전형에서 지원 자격을 제한하는 강경책을 채택했다.
이번 결정에 대해 수많은 누리꾼들은 "이것이 진정한 교육이다", "성범죄만큼 나쁜 죄가 학폭이다. 가해자는 마땅히 책임을 져야 한다", "학교에 떨어졌다고 억울해할 자는 없을 것"이라며 단죄에 대한 호평을 쏟아냈다.
반면, 일각에서는 "과연 옳은 결정인가"라는 반발 여론이 확산됐다.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학폭 가해자 입학 취소가 과연 옳은 일일까"라는 의문을 담은 글이 올라오기도 했다.
작성자는 "10대 때 남성호르몬 넘치고 사리분별력 떨어지는 사춘기 시절에 남학생들이 주먹다짐한 것까지 다 학폭 낙인 찍는게 맞냐" , "당장에야 통쾌하다는 기분이 들겠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현명한 판단인지는 의문이 든다"며 모두 학폭으로 낙인찍고 대입까지 불이익을 주는 건 갱생의 여지를 너무 일찍 차단하는 것"이라고 강하게 지적했다.
또한 "충분히 반성하고 마음을 고쳐먹었더라도 대학 입시에서부터 사회 진입의 문이 막히면 오히려 절망감을 느끼고 반사회적 인물로 변할 수 있다"라는 우려를 내비쳤다.
이에 대해 다수의 누리꾼들은 "글쓴이 본인이 학폭 저지른 사람인거 티난다", "다른 사람들은 사춘기 때도 학폭 하면 안 되는 거라고 배움", "사리분별은 본인이 못하는 듯"이라고 반론을 일축하며 맞섰다.